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담뱃값 9,660원 넘으면 고소득층도 금연의향"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담뱃값 9,660원 넘으면 고소득층도 금연의향"
작성자 길잡이 작성일 2013-11-25
출처 연합뉴스

"담뱃값 9,660원 넘으면 고소득층도 금연의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분석...금연의사 생기는 값은 8,943원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담뱃값이 한갑에 9천660원 이상이면 소득상위 25% 집단도 금연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됐다.

2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담배 및 주류의 가격정책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남성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금연의사가 생기는 담뱃값은 평균 8천943원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조사 대상자에게 금연할 의사가 생기는 담배 가격을 물어본 결과, 현재 담뱃값의 4배에 가까운 가격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응답자의 소득과 연령 변수로 인한 효과를 배제할 경우 이 가격은 8천965원이었다.

금연 의사가 생기는 담뱃값은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조사 대상자를 소득수준에 따라 4단계로 구분했을 때 하위 25% 저소득층은 8천497원에 금연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고, 상위 25% 고소득층은 9천660원이면 금연하겠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고소득층보다는 저소득층이 더 가격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담뱃값 인상은 저소득층의 금연실천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연령과 소득 외에도 배우자와 자녀 유무, 교육수준, 건강상태, 금연 시도 경험 등 흡연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다른 변수들을 모두 반영한 결과, 금연을 유도하는 담뱃값은 9천65원으로 분석됐다.

한편 19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음주 폐해를 줄이기 위해 수용할 수 있는 가격인상 정도를 조사한 결과, 1천300원 수준인 맥주 1캔(355㎖)당 당 85∼99원을, 1천100원인 소주 1병(330㎖) 당 64∼83원을 더 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우리 국민들은 술을 지나치게 많이 마신다고 생각하면서도 주류가격 인상에 대한 수용성은 담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tre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11/20 15:38 송고
이전, 다음 게시물 목록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2011년 한국 기대수명 81.1년으로 독일보다 길어
다음글 <스위스, 담배 한갑에 1만3천원으로 인상 추진>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