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길라잡이 금연도움받기 금연 성공자 인터뷰
블로그

금연매거진

금연 매거진 2025년 1월 1호 매거진표지

공지사항

공지사항 더보기
SNS포털 금연프로그램

금연공감_함께 실천해요

온라인 상담실

더보기

가슴답답, 불안, 공황, 식욕저하도 금단증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저번주 화요일(4/23)일에 가슴이 답답하고 숨쉬기가 불편한 느낌이 들어 금연을 시작하였습니다. 가슴이 답답한 증상으로 이비인후과, 내과, 신경과등에 가서 심전도, 흉부엑스레이, 폐기능검사, 자율신경검사 등을 해보았으나 다 정상이라고 나오고 자율신경쪽에서만 교감신경이 항진되어있으나 치료나 약을 먹을 정도는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주말에는 식욕도 떨어져서 하루 한끼도 겨우먹는 정도가 되었습니다. 한끼도 밥을 먹다보면 가슴이 답답해지고 불편한 증상이 생겨서 평소 먹던 양보다 반절만 먹게 되더라구요. 다만 헬스, 테니스 같은 운동을 할 때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예전에 2년정도 금연했을 당시에는 이런 증상은 없었던거 같은데 혹시 금단 현상중에 가슴답답, 숨쉬기 불편, 공황, 식욕저하 등의 현상들도 있을까요??

공감마당

더보기

금연 10일차 각오를 다시 다집니다.

어느덧 나이가 42세가 되었네요.. 철없던 18세 고등학생 시절부터 피워온 담배인데.. 아직도 등굣길에 빌라 골목에 숨어서 말보로라이트 한대 피우고 등교했던 그 짜릿한 행복감을 잊지 못합니다. 그 후로 한번 2년, 또한번은 6개월 금연한 적이 있었는데.. 두번다 추운 겨울날 이제 안필수 있겠다 라는 자신감이 가득 차올랐을때 따뜻한 커피와 함께 갑자기 머리속을 강타하는 강렬한 흡연 욕구.... 담배 맛이 뭐였더라? 한대만 피워볼까? 다시 끊을 수 있겠지? 그래 맛만 보지뭐 그동안 참았는데 못참겠어?... 그리고 다시 시작된 흡연.. 한번 금연 후 다시 피우면 더 금연하기가 어렵더라구요 마지막 금연 실패 후.. 아 진짜 못끊겠다.. 니코틴 없이는 못살겠다 싶어서 차선책으로 액상전자담배로 갈아타고 최근 한 3년 동안은 연초 안피우고 오로지 액상만 피웠습니다. 그사이 결혼도 하고 개구장이 아들과 성깔있는 공주님을 얻게 되었고 와이프의 등살과 아이들을 보면 죄책감이 들어 이제 액상 담배도 끊고 니코틴의 노예에서 완전히 벗어나 보려고 합니다. 니코틴.. 참 무섭네요.. 금연을 한다는건 마치 정말 사랑했던 여인과의 이별과 비슷한것 같습니다. 같이 행복했던 수많은 기억들.. 아침에 일어날때 제일 먼저 나를 행복하게 해주고 내가 어딜가든 무엇을 먹던 항상 그 끝엔 그가 있었던것 같아요.. 이제 다시는 못볼생각을 하니 허무하고 슬프기도 하고 우울한 감정까지 느껴집니다. 하지만 그는 니코틴이라는 환상속의 괴물임을 깨달았습니다. 그와 함께한 시간이 행복했다라고 느낀건 그 괴물에게 내 뇌가 쇠뇌 당했기 때문이란 것을 이제는 압니다. 이제 정말 내인생에 니코틴은 없길 바랍니다.. 모든것이 환상이고 착각인것을 이제는 깨달았습니다. 니코틴없는 세상이 더 자유롭고 깨끗하고 행복한 인생인 것을 깨달았습니다. 다시는 니코틴의 노예가 되지 않겠습니다. 모두 금연 성공하시고 새해 복 많이받으세요~

금연정보_함께 시작해요

[그림으로 보는 금연이야기]표지 금연으로 생활비 절약하기!

금연으로 생활비 절약하기!

금연, 왜 해야할까? 담배와 환경: 숨겨진 피해

담배는 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는 환경의 건강도 위협합니다. 전자담배를 포함한 담배 제품의 폐기물은 독성 화학물질, 중금속, 잔류 니코틴 등을 포함하고 있어 수질, 대기, 토양 오염을 일으킵니다. 또한, 담배 제품은 폐기 과정뿐만 아니라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도 환경 오염을 일으키고 기후 변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와 관련해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담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러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는 2022년과 2023년 세계 금연의 날 주제를 각각 담배: 환경에 대한 위협 과 담배가 아닌 건강한 식량을 키워주세요. 로 정했습니다. 이를 통해 담배로부터 우리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더 많은 관심과 행동을 촉구했습니다. 담배 쓰레기의 증가와 처리 문제 환경문제를 다룰 때 자주 언급되는 주제는 엄청난 쓰레기양과 처리 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이 빨대 사용, 일회용품 줄이기, 업싸이클링(Upcycling, 재활용 통한 새로운 제품 개발) 등 쓰레기 감소를 위한 제도적,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담배꽁초 문제는 매우 심각합니다. 매년 약 76만 톤의 담배꽁초가 쓰레기로 배출되고 있으며, 2021년에는 전 세계 해안과 수로에서 1백만 개 이상의 담배꽁초가 수거되었습니다. 이는 식품 포장지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쓰레기로, 해안과 수로에서 비닐봉지나 빨대보다 더 많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담배꽁초는 길거리 등 공공장소에서 자주 버려지며, 배수구를 통해 강, 해변, 바다를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버려진 담배꽁초는 환경 정화 단체나 시설에서 모두 수거할 수 없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실제 환경을 오염시키는 담배꽁초는 97억 개에 달하며, 기타 담배 관련 제품과 포장지도 3억 9200만 개에 달해 미국 쓰레기의 거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한편, 전자담배 폐기물은 플라스틱, 전자 및 화학 폐기물을

추천검색어 #탄소발자국 #산림파괴 #온실가스 #담배필터 #생분해 #기후변화 #폐기물 #쓰레기 #전자담배배터리

금연 지식 보기

금연 소식 _함꼐 확인해요

금연소식

소식 더보기

전문가 칼럼

2025 새해, 금연으로 폐암 예방의 첫걸음 내딛자 [전문의기고]

2025 새해, 금연으로 폐암 예방의 첫걸음 내딛자 [전문의기고] 증상 없는 조기 폐암, 빠른 발견이 생존의 열쇠 최근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서 폐암은 전체 암 발생률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암 환자의 약 20%를 구성하고 있다. 특히 흡연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비흡연 환자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2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전체 암 발생자 중 11.5%가 페암을 진단받았다. 중략 폐암의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호흡 곤란, 체중 감소, 흉통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폐암이 진행되면서 심화되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또한, 초기 폐암 환자 중 약 25%는 증상이 없어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폐암은 복합적인 영향으로 발생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진 원인은 흡연이다. 전체 폐암 환자의 약 80%가 흡연자일 정도로 흡연은 폐암과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다. 간접흡연 역시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중략 폐암은 조기 발견 시 최소한의 통증과 높은 안정성을 보여주는 최소침습수술만으로도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질환으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이다. 생략 기사 전문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healthinnews.co.kr/view.php?ud=2024123113491968736aa9cc43d0_48

전문가칼럼 더보기

본 메일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의거 회원님의 수신동의에 의해 발송되는
‘메일입니다. 더 이상 수신을 원하지 않으신 경우 수신거부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회원 : 금연길라잡이 홈>로그인>전체메뉴>마이페이지>개인정보수정>수신동의 E-mail 수신->'미수신' 변경
- 기타 : 금연매거진 수신거부 하기 수신거부

COPYRIGHT © 보건복지부 ALL RIGHT RESERVED. TEL : 1811-9079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