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온라인 상담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온라인 상담실

혼자 금연하는 것이 벅차신가요? 그렇다면 전문가와 상의해 보십시오.

※ 답변은 평일 기준 3일 이내 드리고 있으나, 문의내용에 따라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자주하는 질문에서도 궁금증을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 금연 중에 발생하는 어려움으로 급히 상담을 받고싶다면 금연상담전화(1544-9030)으로 연락 주십시오.(서비스 이용 문의 상담 불가)

※ 로그인시 게시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자주하는 질문 전화상담 예약
정말 궁금합니다. 상세 페이지

제목, 이메일, 작성자, 등록일, 카테고리, 조회수, 첨부파일, 상담내용, 답변내용, 답변인,답변일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 흡연영향 ] 정말 궁금합니다.
작성자 손정권 등록일 2002-11-30
카테고리 흡연영향 조회수 4505
상담내용
자주하는 질문중에서 역류성 식도염이라는것이 있던데..흡연과 관계가있는건지요..제가 목 끝부분(밑으로)이 아리고..중압감도 느껴지고..이물감도 느껴져서. 이비인후과에 가봤더니..역류성 식도염일지도 모른다고했습니다.역류성 식도염이 뭔지 자세히알고싶구요, 흡연과 관계가있는지도 알고싶습니다.위험한 건가요??어떻게 하면 고칠수있는지요??저도 금연을 시작했습니다.답변주십시요
답변
답변인 상담의사 답변일 2002-12-02 12:00
식도는 입에서 섭취한 음식물을 위까지 전달하는 통로로 길이는 약25cm 정도(성인)이며 네 개의 생리적 협착부를 가지고 있고, 3층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네 개의 협착부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횡격막 협착부는 식도와 위가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이 있어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위산이나 펩신 같은 위액이 식도로 역류되면 식도의 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식도 점막을 손상시켜 궤양과 출혈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것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유발 원인에 따라 궤양성, 담즙성, 알칼리성 식도염으로 나누어집니다. 보통 식후, 유문부 협착 혹은 위정체 증후군 및 위산 과다분비 상태로 위안의 내용물이 증가된 경우나, 눕거나 구부린 위치에서 위안의 내용물이 위 식도 연결부위에 있는 경우에 음식물이 역류될 수 있습니다. 또는 비만, 임신, 복수 혹은 심하게 조이는 허리띠나 거들을 하여 위압이 증가된 경우에도 역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경이나 근육의 긴장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분은 몇 가지가 있는데, 흡연 역시 역류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 중의 하나입니다.역류성 식도염에 걸리면 가슴의 흉골 뒤에서 뜨겁거나 쓰라린 통증과 불쾌감이 특징적인 증상으로 식후 약 30분 이내에 나타납니다. 이는 식도 점막에 역류된 위 내용물이 접촉함으로써 일어납니다. 칼로 찌르는 듯한 가슴의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아무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궤양성 협착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흔히 연하 곤란이 시작되기 전 몇 년 동안 속이 쓰린 증상이 나타납니다. 식이요법으로 과식을 해서는 안되며, 사이다, 콜라 등과 같이 탄산 음료를 피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의 힘을 약하게 하는 흡연이나 지방이 많은 음식, 커피식도는 입에서 섭취한 음식물을 위까지 전달하는 통로로 길이는 약25cm 정도(성인)이며 네 개의 생리적 협착부를 가지고 있고, 3층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네 개의 협착부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횡격막 협착부는 식도와 위가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이 있어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위산이나 펩신 같은 위액이 식도로 역류되면 식도의 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식도 점막을 손상시켜 궤양과 출혈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것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유발 원인에 따라 궤양성, 담즙성, 알칼리성 식도염으로 나누어집니다. 보통 식후, 유문부 협착 혹은 위정체 증후군 및 위산 과다분비 상태로 위안의 내용물이 증가된 경우나, 눕거나 구부린 위치에서 위안의 내용물이 위 식도 연결부위에 있는 경우에 음식물이 역류될 수 있습니다. 또는 비만, 임신, 복수 혹은 심하게 조이는 허리띠나 거들을 하여 위압이 증가된 경우에도 역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경이나 근육의 긴장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분은 몇 가지가 있는데, 흡연 역시 역류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 중의 하나입니다.역류성 식도염에 걸리면 가슴의 흉골 뒤에서 뜨겁거나 쓰라린 통증과 불쾌감이 특징적인 증상으로 식후 약 30분 이내에 나타납니다. 이는 식도 점막에 역류된 위 내용물이 접촉함으로써 일어납니다. 칼로 찌르는 듯한 가슴의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아무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궤양성 협착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흔히 연하 곤란이 시작되기 전 몇 년 동안 속이 쓰린 증상이 나타납니다. 식이요법으로 과식을 해서는 안되며, 사이다, 콜라 등과 같이 탄산 음료를 피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의 힘을 약하게 하는 흡연이나 지방이 많은 음식, 커피
이전, 다음 게시물 목록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담배의 의약적용도나 약리적 작용..혹은 시체적 반응에 대해서알고싶어요.
다음글 흡연이 아이에게 미치는 시기가...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