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흡연의 위험성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눈: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등 안과 질환

흡연으로 인한 질병 등록일 : 2017-09-25 조회수 : 26838 추천수 : 0

백내장 (Cataract)

눈이 침침하고 뿌옇게 보이는 백내장은 단순히 나이가 들어서만 생기는 질병이 아닙니다. 흡연 은 눈의 수정체를 혼탁하게 만들어 백내장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우리 눈의 수정체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인 노화 과정으로 본래의 투명도를 잃고 뿌옇게 변 하게 되는데,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마치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질환을 백내장이 라고 합니다. 가장 흔한 백내장의 원인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노인성 백내장이 지만, 그 외에도 외상, 당뇨병, 자외선 과다 노출, 약물 과대 복용, 음주, 흡연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백내장 발병률이 무려 47%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담배 연기 는 눈을 직접 자극할 뿐만 아니라, 담배 속 유해물질이 혈관을 타고 눈에 들어가 수정체를 손 상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흡연량이 많고 흡연 기간이 길수록 백내장 위험은 더욱 커집니다. 스 웨덴에서 이뤄진 12년간 추적 관찰 연구에 따르면, 하루 15개비 이상 흡연하는 사람은 흡연 경 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백내장 수술 위험이 42% 증가하였습니다.

금연을 하면 백내장 발생위험이 유의미하게 줄어듭니다. 하지만 과거에 하루 평균 15개비 이상 흡연했던 사람은 20년 이상 금연을 유지한 후에도 흡연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백내장 수술 위험이 21%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백내장의 위험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아예 흡연을 시작하지 않거나 지금 바로 금연을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우리가 사물을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이유는 눈 안쪽에 있는 ‘황반’ 덕분입니다. 이 황반이 손상되는 질환을 황반변성이라고 하며, 발생 원인 중 하나로 흡연이 꼽히고 있습니다.

우리 눈 안에는 카메라 필름 같은 역할을 하는 안구의 안쪽 면을 덮은 얇은 박인 망막이 있습 니다. 이곳에서 시각 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대뇌로 전달함으로써 사물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망막의 전 층에서 골고루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망막의 한가운데에 있 는 황반이라는 곳에서 90% 이상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노란색의 원반 모양이라 ‘황 반’이라고 불리는 이 기관은 시각세포와 시신경이 집중되어 있어 시력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 을 미칩니다.

즉,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이 그 기능을 잃어 시력이 감퇴하고 사물이 찌그러져 보 이며 심하면 시력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흡연은 눈의 결막을 자극하고 혈관을 좁게 만들어 허혈성 시신경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망막 층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맥락막 혈관을 굳게 하고(맥락막 혈관 경화) 망막에 충분한 산소 공급이 방해하여(망막 저산소) 손상을 일으킴으로써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에 따르면,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 보다 노인성 황반변성 발병 위험이 86% 높고, 평균 5년이나 더 빨리 발병하였습니다.

최소 20년 이상 금연을 유지하면 황반변성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녹내장

흡연이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러나 2017년 출판된 체계적 문헌고찰과 대규모 연구에서는 녹내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원발 개방각녹내장 발생에 대한 흡연의 영향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한편, 안압 상승은 녹내장의 발병과 진행에 있어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와 병원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 흡연 이 안압을 높인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기타 안과 질환

이외에도 흡연은 눈 따가움, 과도한 눈물이나 눈 깜박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제1형 당 뇨병 환자는 흡연을 하면 당뇨망막병증에 걸릴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눈 건강을 위해서는 금연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흡연과 질병/만성병 - 백내장

흡연과 질병, 만성병

  • 01.눈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기타 안과질환(실명, 따가움, 과도한 눈물 또는 깜박임)

  • 02.뇌와 신경계

    뇌졸중과 뇌혈관질환, 중독과 신경전달체계 변화

  • 03.머리카락

    냄새와 탈색, 탈모

  • 04.코

    만성 비부비동염과 후각 손상

  • 05.치아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 치아 변색

  • 06.입과 목

    두경부암, 식도암, 인후염과 목 아픔, 미각 손상, 입냄새

  • 07.귀

    중이염과 난청

  • 08.폐

    기관지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흉, 천식, 결핵, 코로나-19등 기타 폐질환

  • 09.심장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죽상동맥경화증, 기타 심장질환(고혈압, 신부전증, 말초동맥질환, 심방세동, 정맥혈전색전증, 돌연사/심장급사)

  • 10.가슴과 배

    위암, 췌장암, 대장암, 복부 대동맥류, 소화성궤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기타 소화기 질환, 유방암 질환 증가

  • 11.간

    간암

  • 12.남성 생식계

    전립선암, 발기부전, 불임 등 남성 성기능 장애

  • 13.여성 생식계

    자궁경부암, 난소암, 조기 폐경, 조기 난소부전, 불임, 자궁외 임심

  • 14.비노기계

    신장암, 방광암, 신기능 손상

  • 15.손, 다리, 발

    버거씨병(폐쇄성 혈전혈관염), 수족냉증, 심부정맥혈정증 등 순환기 질환

  • 16.피부

    건선, 주름, 칙칙해짐 등 조기노화

  • 17.골격계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골절, 허리통증

  • 18.순환계

    급성골수성백혈병, 당뇨병

  • 19.면역계

    루푸스, 만성염증 유발 등 면역기능 저하, 감염 저항력 저하

  • 20.정신건강

    치매 및 인지 저하, 우울, 자살 등 정신건강 악화


  • <참고문헌>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15), Kasper, Dennis L, New York : McGraw Hill Education Medical
    •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50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201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Lindblad, B. E., Håkansson, N., & Wolk, A. (2014). Smoking cessation and the risk of cataract: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cataract extraction among men. JAMA ophthalmology, 132(3), 253-257.
    • Ye, J., He, J., Wang, C., Wu, H., Shi, X., Zhang, H., ... & Lee, S. Y. (2012). Smoking and risk of age-related cataract: a meta-analysi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3(7), 3885-3895.
    • 질병관리청. (2022) 담배폐해 통합보고서. 162-165
    • Chakravarthy, U., Wong, T. Y., Fletcher, A., Piault, E., Evans, C., Zlateva, G., ... & Mitchell, P. (2010). Clinical risk factors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ophthalmology, 10(1, article 31)
    • Velilla, S., García-Medina, J. J., García-Layana, A., Dolz-Marco, R., Pons-Vázquez, S., Pinazo-Durán, M. D., Gallego-Pinazo, R. (2013). Smoking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Journal of ophthalmology, 2013(1), 895147.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