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전문가칼럼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전문가칼럼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전문의 칼럼]국민 건강 해치는 흡연, 담배회사 ‘사회적 책임’ 다하길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문의 칼럼]국민 건강 해치는 흡연, 담배회사 ‘사회적 책임’ 다하길
작성자 이은주 고려대 안암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대변인이사) 작성일 2025-03-06
출처 동아일보

[전문의 칼럼]국민 건강 해치는 흡연, 담배회사 사회적 책임다하길



2025년이 시작한 지 벌써 두 달이 지났다. 새해마다 환자들에게 꼭 금연에 성공하시길 당부하지만 금연은 말처럼 쉽지 않다. 2019년 발표된 세계질병부담연구에 따르면 흡연은 폐암 사망의 64.2%, 후두암 사망의 63.4%에 관여했다. 이는 대사질환, 환경직업적 요인, 기타 행동적 요인(식습관, 음주 등)보다 훨씬 높은 위험도를 보이는 결과다.

 

<생략>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올해 4월 담배회사를 상대로 흡연 폐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묻고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방지하겠다는 목적으로 제기한 항소심에서 마지막 변론을 앞두고 있다. 19999월 외항선 기관사 출신이 흡연으로 인한 폐암 발생을 주장한 소송을 시작으로 국내에서도 흡연의 폐해를 묻는 소송이 제기됐다. 하지만 미국, 캐나다 등 주요국들과는 달리 국내 판결은 흡연과 폐암의 역학적 인과 관계는 인정하나 흡연은 개인의 선택으로 판단하고 모두 담배회사의 손을 들었다.


<생략>


흡연자들이 담배를 끊으려고 노력하지만 많이 실패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니코틴의 중독성 때문이다. 니코틴은 중추신경계에서 도파민 농도를 높여 에너지 증가, 각성 효과, 스트레스 감소 등의 작용을 한다. 이런 기분을 유지하기 위해 담배를 피우게 된다. 금연을 결심한 뒤에도 이미 중독성 때문에 담배를 끊기 어려울 때가 많다. 담배회사들은 담배의 위험성을 경고할 뿐만 아니라 중독되지 않도록 예방과 관련된 노력을 해야 한다. 흡연자들이 금연할 수 있도록 돕지 않는 것은 사회적 책임을 회피한 것이다. 흡연으로 인한 건강 악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막대한 의료 비용을 쓰게 만든다. 결국 국민들이 건강보험료 등으로 그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다. 호흡기내과 의사로서 담배회사의 책임이 막중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






기사 전문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50306/131151474/2
이전, 다음 게시물 목록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김영국 칼럼] 달콤한 7초의 중독
다음글 다음 글이 없습니다.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