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흡연 및 금연 연구 동향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간접흡연·음주 노출 임신부, 자녀 ADHD 위험 크다' | |||
---|---|---|---|
작성자 | 길잡이 | 작성일 | 2014-12-19 |
출처 | 연합뉴스 | ||
"간접흡연·음주 노출 임신부, 자녀 ADHD 위험 크다" 단국대의대 권호장 교수팀, 초등학생 부모 2만여명 조사결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임신부가 간접흡연에 노출되고 술까지 마시면 출산 후 아이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1.6배가량 높아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권호장 교수팀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1만9천940명을 대상으로 아이들의 ADHD 증상과 임신기 엄마의 흡연, 간접흡연, 음주 노출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전체 조사 대상 아동 중 ADHD 증상은 8.9%였다. 성별로는 남자 아이가 12.1%로 여자 아이의 5.7%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조사 대상 아동의 엄마 중 73%는 임신 중 간접흡연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임신 중 음주 경험은 12%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엄마가 임신 중 직접 흡연을 할 경우 자녀에게 ADHD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2.6배 높은 것으로 집계했다. 또 임신 중 직접 흡연을 하지 않고 간접흡연에만 노출된 경우에는 자녀가 ADHD 증상을 나타낼 위험이 1.2배로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간접흡연에다 술까지 마셨을 경우에는 이런 위험이 1.6배까지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임신 중 간접흡연 노출과 음주가 자녀의 ADHD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역학적으로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권호장 교수는 "우리나라 아이들의 ADHD 증상이 늘어나는 데는 간접흡연과 음주도 중요한 위험요인 중 하나"라며 "특히 우리나라 남성들이 처음으로 아[바른말 고운말을 사용합시다.] 되는 30대에 흡연율이 가장 높은 점을 감안하면 임신 중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정신의학 연구(Psychiatry Research)'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이전글 | '흡연, 남성 Y염색체 소실 촉진'<스웨덴 연구팀> |
---|---|
다음글 | 여성 흡연율, 설문조사 땐 7.1%…소변검사선 18.2% |
페이지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