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흡연 노출률
국내흡연율
등록일 : 2017-09-07
조회수 : 38331
추천수 : 1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흡연자의 직장실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남자은 11.5%, 여자는 6.6%로, 2013년 이후 급격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단위: %
- 2005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정의 >
- 현재 일을 하고 있는 현재비흡연자(과거흡연자포함) 중 직장의 실내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연기를 맡는 분율(2013년부터 ‘최근 7일 동안’ 준거기간 포함), 만 19세이상,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 2019년부터 기존 ‘담배’를 ‘일반담배(궐련)’로 용어 변경
- < 출처 >
- 각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우리나라 비흡연자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남자 2.4%, 여자 4.5%로, 남자 가정실내 간접흡연율 노출률은 최근 3년간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다만, 여성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2005년 이후로 꾸준히 감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단위: %
- 2005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정의 >
- 현재비흡연자(과거흡연자포함) 중 가정의 실내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연기를 맡는 분율(2013년부터 ‘최근 7일 동안’ 준거기간 포함), 만 19세이상,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 2019년부터 기존 ‘담배’를 ‘일반담배(궐련)’로 용어 변경
- < 출처 >
- 각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또한 우리나라 비흡연자 공공장소실내 간접흡연노출률은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현재 남자 8.4%, 여자 6.9%로, 2013년 첫 조사 이래로 남녀 모두에서 약 50.5%p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2012년 공중이용시설 전체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2013년도부터 공공장소 실내 간접흡연 노출률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단위: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정의 >
- 현재비흡연자(과거 흡연자 포함) 중 최근 7일 동안 공공장소 실내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맡은 분율, 만 19세이상,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 2019년부터 기존 ‘담배’를 ‘일반담배(궐련)’로 용어 변경
- < 출처 >
- 각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