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예방 교육 및 홍보
국내금연정책
등록일 : 2017-09-25
조회수 : 22786
추천수 : 0
공공 및 민간 연계를 통한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국가금연지원서비스를 통한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 유아흡연예방교육
- 전국 5만여개 유아동 관련 교육기관(어린이집 및 유치원, 지역아동 센터)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흡연예방교실을 운영하여,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관련 교육 자료 사용법 등을 안내하여 흡연예방교육의 사회적 확산 유도
- 학교흡연예방교육
- 전국 초·중·고·특수·기타 학교 학생 및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흡연예방 및 금연을 위한 대상자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멘토링 등의 학교 내 흡연예방 활동을 지원
시도교육청을 통한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 교내 금연분위기 조성
- 금연교육 및 상담, 금연교실, 금연동아리, 금연 이벤트(학생회 금연 활동, 금연 캠페인 등),금연교육/홍보자료 제작/배포 등 학교 내 금연분위기 조성
민간단체를 통한 금연교육
- 금연지도자 교육
- 학교 교장/교사, 군 간부, 군 전문 의료인,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금연지도자 교육을 통해 일선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금연교육을 실시하고, 보건의료전문가에 대한 금연교육을 병행하여 보건의료계 종사자가 금연운동에 참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 특수계층 순회금연교육
- 근로자, 군인, 경찰, 대학교 신입생 대상 순회금연교육을 실시하고, 참가기관의 금연실천자 관리를 위해 이동금연클리닉을 운영, 대상자에게 금연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금연성공 유도
금연캠페인
- 2000년부터 금연공익광고를 꾸준히 제작 및 방영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는 금연공익광고 뿐 아니라 금연을 주제로 다룬 다큐멘터리, 콘서트, 오락프로그램 등의 TV프로그램도 제작하여 방영
- 금연홍보전략에 있어서 매체별, 대상별로 접근방식을 구체화하여 홍보의 효율성 제고
- 매체로는 TV, 라디오, 옥외매체, 인쇄물,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 활용
- 대상별로는 아동, 청소년, 청년, 성인남성 및 성인여성 등으로 세분화하여 진행
- 연도별 금연캠페인 현황
- 2000 흡연에 대한 후회
- 2004 흡연은 지학
- 2007 흡연은 폭력
- 2008 간덥흡연 노출 최소화: Say"No"
- 2009~2010 담배연기 없는 대한민국
- 2010 Self하지말고 Help하세요
- 2011~2012 간접흡연 예방
- 2013 금연구역 확대 시행
- 2014 흡연피해에 대한 경고: 죽음의 게임
- 2015 흡연은 질병, 치료는 금연
- 2016 경고그림 도입 의무화
- 2017 실제 흡연 피해자의 증언
- 2018 흡연, 스스로를 죽이고 타인도 죽음에 이르게 합니다
- 2019 깨우세요! 우리안의 금연본능
- TV 및 라디오 광고 (광고, 토크쇼, 오락프로그램 등 활용)
- 일반 대중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인물 및 명사 활용
- 담뱃갑 경고 내용의 강화 (6가지 발암물질 및 금연상담 전화번호 1544-9030 표기)
- 간접흡연의 위해 최소화 필요로 까지 금연구역 확대
- 지속적 캠페인을 통한 국민인식재고 및 금연실천 독려
- 대상자별 (청소년, 여성, 군경 등) 금연캠페인 실시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