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관련정책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담배가격 규제

국내금연정책 등록일 : 2017-09-25 조회수 : 15352 추천수 : 0

담배가격규제

담배관련 조세 및 부담금

  • 1994년 이후 7차례 담뱃값을 인상해 왔으나, 담뱃값 인상률이 낮아 높은 흡연율의 요인이 되었으며, 이에 2003년 5월 흡연율 감소를 위한 담뱃값 인상 추진을 발표하고, 관계부처와의 수차례 논의를 거쳐 2004년 12월 국민건강증진법령 등을 개정하여 담뱃값 500원 인상, 2015년 1월 담뱃값 2000원 인상

가격정책의 경과

가격정책의 경과
  1. 1997년
    • 궐련 1갑당 2원
    • 국민건강증진법 제23조 제1항 제1호
    • 담배사업법 제 24조의 2
    • 담배사업법 시행규칙 제 19조4
  2. 2002년
    • 궐련 1갑당 150원
    • 국민건강증진법 제23조 제1항
  3. 2004년
    • 궐련 1갑당 354원
    • 국민건강증진법 제23조 제1항
  4. 2009년
    • 군 면세 담배 폐지
  5. 2011년
    • 전자담배 니코틴용액 1ml당 221원 부과
    • 국민건강증진법 제23조 제1항
  6. 2014년
    • 물담배 1g당 433원
    • 머금는 담배 1g당 224원
    • 국민건강증진법 제23조
  7. 2015년
    • 궐련 1갑당 841원
    • 전자담배 니코틴용액 1ml당 525원
    • 국민건강증진법 제23조
  8. 2017년
    • 전자담배 중 연초 및 연초 고형물
      • 궐련형 20개비당 750원
      • 기타유형 : 1g당 30.2원
    • 파이프담배 : 1gg당 30.2원
    • 엽궐련 : 1g당 85.8원
    • 각련 : 1g당 34.4원
    • 씹는 담배 : 1g당 21.4원
    • 냄새 맡는 담배 : 1g당 21.4원
    • 물냄배 1g당 1,050,1원
    • 머금는 담배 : 1g당 534.5원
    • 국민건강증진법 제23조

담뱃갑 당 세금부과 내역

※ 좌, 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담뱃갑 당 세금부과 내역

조세 및 부담금(건강증진기금, 담배소비세, 지방교육세, 개별소비세, 부가가치세, 소계), 유통마진 및 제조원가, 담배가격 정보제공

구분 담배가격
4,500원
조세 및 부담금 건강증진기금 841
폐기물부담금 24
연초안정화기금 5
담배소비세 1,007
지방교육세 443
개별소비세 594
부가가치세 409
소계 3,323 (73.8%)
유통마진 및 제조원가 1,177


국내외 담배값 비교

국내외 담배값 비교

담배가격(MSB)

  • 아일랜드 / 16,445원($14.95)
  • 영국 / 14,938원($13.58)
  • 미국 / 7,546원($6.86)
  • 브라질 / 2,695원($2.45)
  • 호주 / 15,917원($14.47)
  • 캐나다 / 10,758원($9.78)
  • 일본 / 4,895원($4.45)
  • 싱가폴 / 18,557원($16.87)
  • 중국 / 4,422원($4.02)
  • 태국 / 5,335원($4.85)
  • 한국 / 5,808원($5.28)
※ 미국, 캐나다의 경우 지역(주단위)마다 담배가격이 다르며 전체 평균값임
※ 1달러 1,100원 기준으로 환산
※ 담배가격은 각 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담배의 가격 기준임 (MSB:Most Sold Brand)
  • <출처>
    •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2019, Tanle 9.1.0 National taxes and retail price for a pack of 20 cigarettes, globally, 2018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