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성공비법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인지행동요법

나에게 맞는 금연방법 등록일 : 2017-09-25 조회수 : 28386 추천수 : 3

흡연은 니코틴 중독 즉, 질환이라고 하지만, 습관에 의한 질환이기도 합니다.
흡연 습관이 있으면 흡연 욕구를 일으키는 조건이 되었을 때 금연 시도 중에도 흡연을 하게 되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다른 금연 방법과 함께 심리사회적 치료 또한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니코틴 대체요법은 담배의 다른 유해 화학성분들을 배제하고 패치, 껌, 사탕 등의 형태로 니코틴을 공급하는 금연보조요법입니다.
이러한 니코틴 보조제는 금단 증상과 흡연 욕구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요.
복용 시에는 사용방법과 금기사항을 숙지하고, 금연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방법 및 용량을 조절합니다.
약물요법은 약을 통해 담배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으로, 니코틴 의존을 치료하기 위한 단기간의 보조요법입니다.
금연 치료제로 승인 받은 약물로는 부프로피온과 바레니클린이 있으며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흡연은 질병,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완치할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CB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는 목표 지향적(goal-oriented)이고, 문제 해결 중심적(problem solving)인 치료방법으로, 습관화된 흡연자의 내재된 사고를 극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흡연에 대한 왜곡된 사고와 행동 모두에 초점을 두고 있어, 효과적인 금연치료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 점차 신체적인 의존과 함께, 심리적인 의존도 생기기 마련입니다. 신체적인 또는 생리적인 의존(예: 안절부절못함, 갈망 등)은 금연약물치료가 도움이 되지만, 심리적인 부분이나 몸에 밴 행동까지 바꾸진 못합니다. 많은 흡연자들은 자신의 일상을 오랫동안 흡연과 연결시켜왔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담배를 피우는 행위, 커피를 마시면서 담배를 피우기, 책을 읽거나 글을 쓰면서 담배를 피우기, 술 마시면서 담배를 피우기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cue)은 오랜 기간 동안 수없이 반복되면서 조건반사적으로 흡연과 연결되기 때문에, 해당 특정 상황에선 흡연을 떠올릴 수밖에 없게 됩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이러한 흡연자의 습관화된 사고와 행동을 극복하기 위해, 금연이라는 긍정적인 생각이 자연스럽게 행동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것을 마음에 그리고 하고, 금연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방법으로 금연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구체적인 행동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담배를 피우도록 유발하는 상황을 찾아보기 (식사, 커피, 배변, 음주, 회의 등)
  • 흡연 일기를 써보기
  • 흡연을 미루는 지연 전술(심호흡하기, 물 마시기, 다른 일에 집중하기 등)
  • 흡연이라는 행동의 대체 방식을 찾기(껌이나 당근을 씹어보기)
  • 긍정적 강화(단기 목표를 정하고 스스로에게 상을 주기)
  • 자존감을 키우기
  • 대처기술의 습득(coping skill training)

생각을 개선하는 인지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자신의 생각에 대한 스스로의 책임감
  • 금연에 장애물로 여겨지는 믿음을 바꿔서 금연 성공에 이르는 법을 배우기
  • 불합리한 생각을 버리고, 좀 더 긍정적인 생각들로 대체하기
  • 상황을 미리 연습해보기(담배를 다시 피우기 쉬운 위험한 상황을 미리 떠올려서 연습)
  • 금연에 장애가 되는 상황과 그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기

이러한 인지행동치료는 금연상담에서 이용되는 주요한 방법으로, 주변의 지지, 개인의 의지, 약물치료와 병행될 때 그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독립적이기 보단 치료의 큰 틀 안에서 유기적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 <참고문헌>
    • 박영철. 금연보건학개론. 2011. 도서출판 이담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08 update. 2008.
    • Charles Herrick et al., 100 questions & answers about how to quit smoking. 2010.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평가 프로세스

나의 흡연상태를 설명할 때 다음의 어떤 사항에 해당되십니까?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