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성공비법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약물요법

나에게 맞는 금연방법 등록일 : 2017-09-25 조회수 : 29092 추천수 : 3

흡연은 니코틴 중독 즉, 질환이라고 하지만, 습관에 의한 질환이기도 합니다.
흡연 습관이 있으면 흡연 욕구를 일으키는 조건이 되었을 때 금연 시도 중에도 흡연을 하게 되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다른 금연 방법과 함께 심리사회적 치료 또한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니코틴 대체요법은 담배의 다른 유해 화학성분들을 배제하고 패치, 껌, 사탕 등의 형태로 니코틴을 공급하는 금연보조요법입니다.
이러한 니코틴 보조제는 금단 증상과 흡연 욕구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요.
복용 시에는 사용방법과 금기사항을 숙지하고, 금연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방법 및 용량을 조절합니다.
약물요법은 약을 통해 담배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으로, 니코틴 의존을 치료하기 위한 단기간의 보조요법입니다.
금연 치료제로 승인 받은 약물로는 부프로피온과 바레니클린이 있으며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흡연은 질병,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완치할 수 있습니다.

약물요법

부프로피온(Bupropion)

원래 우울증치료제로 사용되어 금연 치료제로 승인을 받은 약물로 니코틴이 들어있지 않으며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뇌의 도파민이나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이들 신경 전달 물질의 혈중농도를 높게 유지시키는데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은 우울증세와 니코틴에 의한 금단증세를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작용기전
    • 담배를 피우지 않고 약을 복용하여 도파민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담배의 역할을 대신합니다.
    • 니코틴 의존을 치료하기 위한 단기간의 보조요법입니다.
  • 복용방법
    • 금연 일주일 전부터 복용 시작하여 12주간 복용합니다.
    • 150mg을 첫 6일간 1정씩 아침마다 복용합니다.
    • 7일 이후에는 1정씩 아침, 저녁에 복용합니다.
    • 투여간격은 최소 8시간이며 1일 투여량은 2정(300mg)을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 니코틴 패치와 병용 가능하며 약을 부수거나 쪼개지 말고 통째로 삼켜야 합니다.(서방정 제형이기 때문에 통째로 복용)
    • 부프로피온 - 복용방법

      복용량, 사용시기 정보제공

      복용량 사용시기
      하루 150mg(1정) 첫 6일(아침)
      하루 300mg(1정씩 아침저녁) 2주~7주까지(아침, 저녁)
    • 7주에서 12주의 투여기간을 가지며 그 이상 복용 시에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합니다.
  • 복용 금기자
    • 자살성향 증가보고
    • 임산부 및 수유부
    • 18세 미만 소아 및 청소년
    • 약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 발작병력 환자
    • 중추신경계에 종양이 있는 환자
    • 알코올 또는 진정약물을 갑자기 중단한자
    • 대식증 또는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
    • MAO 억제제 투여중인 환자
  • 부작용
    • 두통, 오심, 구강건조 및 갈증, 변비, 수면장애, 구토, 식욕변화, 초조 등

바레니클린(Varenicline)

바레니클린은 뇌의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하여 이 수용체에 니코틴 결합을 차단합니다.

  • 작용기전
    • 바레니클린은 뇌의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하여 이 수용체에 니코틴 결합을 차단하며, 니코틴 유사 작용을 합니다.
  • 복용방법
    • 금연시작일을 정한 후 정해진 날짜로부터 1주전에 바레니클린 투여를 시작합니다.
    • 식후에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복용합니다.(첫 3-4일은 구역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
    • 바레니클린 - 복용방법

      금연여부에 따른 금연준비, 금연시작 정보제공

      금연여부 금연준비 금연시작
      기간 1 ~ 3일 4 ~ 7일 8일 이후
      용량 0.5mg씩 1일 1회 0.5mg씩 1일 2회 1mg씩 1일 2회
    • 이상 반응을 참을 수 없는 환자는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용량을 감량 할 수 있습니다.
  • 복용 금기자
    • 임산부 및 수유중인 여성
    • 18세 미만 소아 및 청소년
    • 심장질환자
    • 노인환자
    • 심근경색
    • 우울증 및 신경정신과 환자(행동변화, 초조, 우울증, 자살관념, 자살행동을 포함한 신경정신과 증상 악화 가능)
  • 부작용
    • 구역, 구토, 수면 장애, 변비(복부팽만), 매스꺼움, 울렁거림, 특이한 꿈, 미각변화 등
  • 주의사항
    • 약물 복용 후 우울증, 자살충동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 <참고문헌>
    • Richmond R, Zwar N. Review of bupropion for smoking cessation. Drug Alcohol Rev. 2003 Jun;22(2):203-20.
    • Shepherd G, Velez LI, Keyes DC. Intentional bupropion overdoses. J Emerg Med. 2004 Aug; 27(2):147-51.
    • Hughes JR, Stead LF, Lancaster T. Antidepressants for smoking cessation (Review).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007; Issue 1.
    • Cahill K, Stead LF, Lancaster T. Nicotine receptor partial agonists for smoking cessation (Review).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007, Issue 4.
    • Silagy C, Lancaster T, Stead L., Mant D, Fowler G.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004; Issue 3.
    • 2013년 보건소 금연금연클리닉 상담매뉴얼 (Guide to quitting smoking, American Cancer Society, 2013)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