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 황반변성
백내장, 실명(황반변성), 따가움, 과도한 눈물과 깜박임
뇌졸중, 중독/금당증산
냄새와 탈색, 탈모
부비동, 만성 비부비동염, 후각 손상
치주질환(잇몸 질환, 치은염, 치주염), 치석, 변색
인후염, 미각 손상, 입냄새, 구안지 구형
난청, 중이염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호흡기감염(인플로엔자, 폐렴, 결핵)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증
복부 대동맥류, 소화성 궤양(식도, 위장, 소장의 상부), 조기복부 기흉,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발기부전 등 남성 성기능 장애
조기 난소부전, 조기 폐경, 불임, 생리통, 자궁외 임신
건선, 칙칙해짐, 주름 등 조기 노화
말초혈관질환, 혈액순환 장애
골다공증, 고관절부 골절, 허리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신기능 손상
죽상동맥경화 말초혈관 질환, 냉족, 심부정맥혈전증
버거씨병(동맥염증, 부정맥)
우리 눈 안에는 카메라 필름 같은 역할을 하는 안구의 안쪽 면을 덮은 얇은 막인 망막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시각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대뇌로 전달함으로써 사물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망막의 전 층에서 골고루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망막의 한 가운데에 위치한 황반이라는 곳에서 90% 이상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노란색의 원반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 황반이라는 곳에는 시세포와 시신경이 집중되어 있어 시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황반 변성이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이 그 기능을 상실하여 시력이 감퇴되고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며 시력을 잃게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흡연은 눈의 결막을 자극하고 혈관수축을 통하여 허혈성 시신경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눈의 맥락막 혈관의 경화와 망막의 저산소 손상을 일으킴으로써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다. 흡연자의 경우 노인성 황반변성 발병 위험이 86% 높고, 발병 연령도 비흡연자에 비해 평균 5년 빠르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몇몇 연구에서는 최소 20년 이상 금연을 유지할 때 노인성 황반변성의 위험성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페이지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