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각 손상, 입냄새
길잡이의 금연특강!
"미각 손상, 입냄새"에 대한 정보를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백내장, 실명(황반변성), 따가움, 과도한 눈물과 깜박임
뇌졸중, 중독/금당증산
냄새와 탈색, 탈모
부비동, 만성 비부비동염, 후각 손상
치주질환(잇몸 질환, 치은염, 치주염), 치석, 변색
인후염, 미각 손상, 입냄새, 구안지 구형
난청, 중이염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호흡기감염(인플로엔자, 폐렴, 결핵)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증
복부 대동맥류, 소화성 궤양(식도, 위장, 소장의 상부), 조기복부 기흉,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발기부전 등 남성 성기능 장애
조기 난소부전, 조기 폐경, 불임, 생리통, 자궁외 임신
건선, 칙칙해짐, 주름 등 조기 노화
말초혈관질환, 혈액순환 장애
골다공증, 고관절부 골절, 허리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신기능 손상
죽상동맥경화 말초혈관 질환, 냉족, 심부정맥혈전증
버거씨병(동맥염증, 부정맥)
맛은 식욕을 증진시켜 영양분 섭취를 돕고 상한 음식 등 유해한 물질을 걸러내어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미각 장애는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미각기능의 양적인 변화로 특정한 맛 또는 모든 맛을 전혀 못 느끼는 무미각증과 특정한 맛 또는 모든 맛에 대한 미각기능이 저하된 저미각증이 있습니다. 질적인 변화로는 원래의 맛과 다르거나 불쾌한 맛으로 느끼는 이상미각증과 아무런 미각자극이 없어도 어떤 맛감각을 느끼는 환상미각증이 있습니다. 말초신경이나 중추신경 손상, 여러 가지 구강질병, 약물 등이 미각 손상의 원인으로 알려집니다. 담배의 독성 물질이 미각 돌기를 손상시켜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에서 쓴맛을 잘 느끼지 못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또한 흡연으로 인한 구취가 많이 발생하는데, 담배연기는 혈관을 돌며 지속적으로 입 냄새를 나게 합니다. 담배 성분이 구강 및 호흡기 점막에 쉽게 흡수되고 담배연기가 입안을 더욱 건조하게 만듭니다. 혀의 유두 길이를 증가로 심한 흡연자의 경우 혀의 유두에 음식물이나 세균이 끼면서 심한 구취를 발생시킵니다. 흡연으로 인한 입 냄새는 구강점막, 소화기, 폐 등을 통해 들어간 담배연기가 혈관을 돌면서 지속적으로 내는 냄새이므로 짧은 시간에 쉽게 없어지지 않습니다.
페이지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