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흡연의 위험성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치아: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입냄새, 변색

흡연으로 인한 질병 등록일 : 2017-09-27 조회수 : 41951 추천수 : 0

흡연은 깨끗하고 청결한 구강 환경을 해치고, 더 나아가 다양한 치과 질환을 일으킵니다. 또한, 치아와 잇몸을 착색시켜 아름다운 미소를 읽게 만들고, 심한 입냄새를 유발하면 대인관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

흔히 ‘잇몸병’이라고 부르는 치주질환(풍치)는 치아의 뿌리, 잇몸뼈 등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입안이 청결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치아 플라그가 원인이 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치은염은 잇몸을 빨갛게 하고 칫솔질을 할 때 잇몸에서 피가 나게끔 합니다. 심하면 입냄새가 나고 음식 섭취 시 불편함을 느끼게 합니다. 치은염은 비교적 빠르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넓어지게 되면 치주염이 됩니다. 치주염으로까지 질환이 깊어지면 잇 몸에서 피가 나고 잇몸이 들떠 치아가 흔들리게 됩니다. 심하면 음식 씹기가 힘들어지고 고름 이 차면서 입냄새와 통증이 매우 커집니다.

흡연은 이러한 치은염과 치주염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흡연은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으 로 입속 청결 상태를 떨어뜨리고, 치태와 치석이 더 많이 만들어 면역반응을 낮춰 잇몸질환을 일으키고 치아의 주변 조직을 파괴합니다. 특히, 담배는 침 속의 칼슘과 인을 늘려 치석이 더 잘 생기게 하고 그 위에 치태도 잘 들러붙게 만들어 더욱 염증을 유발합니다. 심지어 흡연으로 인한 청결하지 않은 구강 상태와 스트레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급성 괴사성 궤양성 치은 염’과 같은 통증이 심한 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 흡연자보다 비흡연자의 치은지수가 낮고, 치주염 발생은 4배 이상 높게 나타나, 치주질환에 더 위함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담배의 유해 성분은 구강점막, 피부 등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잇몸과 구강점막의 혈액순환 기능과 면연력을 저하시키는데, 이는 염증과 질 환의 재발을 초래하여 치주질환를 빠르게 악화시킵니다. 담배의 니코틴 또한, 말초혈관을 수축 시켜 산소 공급을 저하시켜 치주질환의 치유를 방해합니다.

치아우식증(충치)은 쉽게 ‘충치’라고 일컫습니다. 특정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입 속 충치 원인균이 치아에 들어붙은 찌꺼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산성 잉여물인 젖산을 배출하게 되며, 이것이 치아를 부식이 일어납니다.

흡연은 입안의 침을 마르게 하고 산도(pH)를 변화시켜 치아 부식을 유발하고 충치를 일으킵니 다.

입냄새와 변색

담배 속에는 치아와 잇몸을 변색시키는 다양한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타르 성 분은 치아, 보철물, 잇몸에 강하게 달라붙어 검은 갈색으로 착색을 일으키고, 칫솔질만으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혀에서도 노란색, 갈색, 검은색의 색소 착색을 일으키기도 하고, 혀의 유두 길이를 길 게 만들어 음식물이 끼거나 세균 번식으로 심한 입냄새를 유발합니다.

흡연과 질병/만성병 - 백내장

흡연과 질병, 만성병

  • 01.눈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기타 안과질환(실명, 따가움, 과도한 눈물 또는 깜박임)

  • 02.뇌와 신경계

    뇌졸중과 뇌혈관질환, 중독과 신경전달체계 변화

  • 03.머리카락

    냄새와 탈색, 탈모

  • 04.코

    만성 비부비동염과 후각 손상

  • 05.치아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 치아 변색

  • 06.입과 목

    두경부암, 식도암, 인후염과 목 아픔, 미각 손상, 입냄새

  • 07.귀

    중이염과 난청

  • 08.폐

    기관지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흉, 천식, 결핵, 코로나-19등 기타 폐질환

  • 09.심장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죽상동맥경화증, 기타 심장질환(고혈압, 신부전증, 말초동맥질환, 심방세동, 정맥혈전색전증, 돌연사/심장급사)

  • 10.가슴과 배

    위암, 췌장암, 대장암, 복부 대동맥류, 소화성궤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기타 소화기 질환, 유방암 질환 증가

  • 11.간

    간암

  • 12.남성 생식계

    전립선암, 발기부전, 불임 등 남성 성기능 장애

  • 13.여성 생식계

    자궁경부암, 난소암, 조기 폐경, 조기 난소부전, 불임, 자궁외 임심

  • 14.비노기계

    신장암, 방광암, 신기능 손상

  • 15.손, 다리, 발

    버거씨병(폐쇄성 혈전혈관염), 수족냉증, 심부정맥혈정증 등 순환기 질환

  • 16.피부

    건선, 주름, 칙칙해짐 등 조기노화

  • 17.골격계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골절, 허리통증

  • 18.순환계

    급성골수성백혈병, 당뇨병

  • 19.면역계

    루푸스, 만성염증 유발 등 면역기능 저하, 감염 저항력 저하

  • 20.정신건강

    치매 및 인지 저하, 우울, 자살 등 정신건강 악화


  • <참고문헌>
    •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50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201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4).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Vol. 62).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이런 검색어는 어떠신가요?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