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성공비법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흡연량이 많은 고도흡연자(heavy smoker) 의 금연전략

대상자별 금연전략 등록일 : 2024-03-22 조회수 : 497 추천수 : 0

‘하루 20개비(1갑) 또는 그 이상의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 ‘20갑년(예를 들면 20개비를 10년간 피운 경우) 이상 담배를 피운 흡연자’, ‘니코틴 의존도 점수가 7점 이상이고, 매일 29개비 이상 담배를 피운 흡연자’ 등과 같이 고도흡연자는 흡연량, 흡연기간, 니코틴 의존도 등을 고려하여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고도흡연자의 특성

정의에 따르면 고도흡연자는 흡연량이 많고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흡연을 해왔으며 니코틴 의존도가 높은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고도흡연자는 금연 시 심각한 금단증상과 흡연욕구를 경험하며, 자기효능감(스스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 또는 기대감)이 낮아 금연을 어려워하고 시도조차 하지 못하거나, 시도하더라도 쉽게 실패하는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고도흡연자들의 특성상 많은 양의 담배를 오랜 기간 사용함으로써 이에 따른 건강 위해도 더 심각할 수 있습니다. 

고도흡연자를 위한 금연전략

고도흡연자의 경우 성급하게 금연을 시작하기보다는 평소 흡연량, 흡연한 기간, 니코틴 의존도, 과거의 금연 경험이나 현재의 흡연습관을 점검하여 담배를 참기 어려운 장소, 상황, 시간 등  흡연습관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습관 파악을 통해 적절한 흡연욕구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장기적인 금연 계획보다는 짧은 기간의 체험적 금연을 시도하는 단기금연을 계획해 볼 수 있습니다. 단기금연은 우선 참기 어려운 담배 참아보거나 하루 1~2시간 담배 없는 시간을 정해 실천해 봄으로써 금연에 대한 부담이나 금단증상에 대한 두려움을 낮추는 것은 물론 금연 계획의 수립과 실천 유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명확한 금연 시작일을 정해 두고 흡연량, 흡연횟수, 흡연상황을 계획적으로 줄여나가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단기금연 체험하기
단기금연은 이후 완전 금연을 위한 예행연습의 과정입니다. 따라서 첫째 재흡연에 대한 부담감을 내려놓고, 둘째 긍정적인 금연 경험을 통해 금연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며, 셋째 단기금연의 반복과 누적을 통해 완전 금연을 준비한다라는 목적을 생각하고 실천하시면 됩니다.

‘하루 중 가장 참기 힘든 담배 참기’, ‘하루 2시간 담배 안 피우는 시간 가지기’, ‘술자리에서 담배 참기’ 등과 같이 구체적이면서 실천가능한 목표를 설정해 봅니다. 2~3일간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에 누구와 담배를 피우는지 휴대전화나 메모지 등에 기록해 보는 것은 단기금연 실천 목표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단기금연 중에는 성공이나 실패와 같은 결과보다는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적절한 대처방안을 찾도록 합니다. 또한, 단기금연 중 다시 담배를 피웠다면 재시도 하거나 새로운 대처법으로 다음 시도를 이어 나가면 됩니다. 한가지의 단기금연 목표를 달성했다면 그 목표를 반복해서 실행하고, 또 다른 목표를 추가로 설정합니다. 목표로 하는 금연의 상황, 장소, 시간을 지속적으로 늘려가면서, 이와 같은 긍정적 경험을 통해 금연에 대한 자신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합니다.

단기금연 실천 결과를 기록하고 활용하여 자신의 금연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흡연 욕구나 유혹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을 준비한다면 완전 금연의 실천과 성공이 좀 더 쉬워질 것입니다.

단기금연 맛보기

금연 준비 기간에 가장 효과적인 흡연 욕구 대처법 찾기 전략
단기 금연(Mini Quit)에 대해 알아봅시다.

효과적인 금연 준비 방법으로 자신의 흡연 습관을 파악하고
흡연욕구를 참는 연습을 충분히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단기 금연도중에 담배를 피웠다면
새로운 대처법으로 다시 시도를 이어나가면 됩니다.

단기 금연을 실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단기 금연을 시도할 시점을 1~2가지 정하세요.
주로 담배를 치웠던 시간이나 상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주로 담배를 언제 피웠는지 파악이 안된다면
2~3일간 언제, 어디서, 누구와 담배를 피웠는지 기록하여
단기 금연을 기도할 시점을 찾아보세요.

세 번째, 내가 정한 시간이나 상황에선 담배를 피우지 않을 것을 스스로에게 약속합니다.
그 때가 지나면 다시 담배를 피우셔도 됩니다.

네 번째, 다음과 같은 여러 흡연 욕구 대처법을 시도해 봅니다.
최대한 많은 대처법을 시도해 보세요.

다섯 번째, 단기 금연으로 찾은 나만의 흡연 욕구 대처법은 잊지 않도록 적어두세요.
흡연욕구 대처법 찾기 전략으로 보다 효과적인 금연생활을 지속하세요.

- 담배 줄여서 끊기
단번에 완전 금연하기가 어렵다면, 계획적으로 흡연량을 줄여가면서 끊는 것도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일반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당장 완전히 금연하는 것이 줄여서 끊는 방법에 비해 금연 성공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담배를 줄여서 끊으려고 하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중독 수준이 높거나 금연에 대한 동기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담배를 줄여가면서 끊는 것이 당장 완전히 담배를 끊는 방법에 비해 금연 성공에 큰 차이가 없다는 근거가 제시되고 있으며, 더 많은 양을 줄이는 경우와 금연 약물요법(니코틴 대체요법 또는 의사처방 약물)과 병행하는 경우 금연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다만, 금연시작일을 정하고, 금연 시작일부터는 0개비 흡연 즉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기 위해 그전까지 흡연량을 조금씩 줄여나가는 계획을 세웁니다. 그리고 나서 계획한 대로 흡연량을 줄여나가는 것은 고도흡연자에게 좋은 금연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 Shiffman, S., & Paty, J. (2006). Smoking patterns and dependence: contrasting chippers and heavy smok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5(3), 509.
    • Neumann, T., Rasmussen, M., Heitmann, B. L., & Tønnesen, H. (2013). Gold standard program for heavy smokers in a real-lif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0(9), 4186-4199.
    • Wilson, D., Wakefield, M., Owen, N., & Roberts, L. (1992). Characteristics of heavy smokers. Preventive medicine, 21(3), 311-319.
    • Shiyko, M. P., Lanza, S. T., Tan, X., Li, R., & Shiffman, S. (2012). Using the time-varying effect model (TVEM) to examine dynamic associations between negative affect and self confidence on smoking urges: Differences between successful quitters and relapsers. Prevention science, 13, 288-299.

    • Panel, D. G. (2008).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2008 갱신.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63952/
    • Cheong, Y., Yong, H. H., & Borland, R. (2007). Does how you quit affect success? A comparison between abrupt and gradual methods using data from the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Policy Evaluation Study. Nicotine & Tobacco Research, 9(8), 801-810.
    • Petersen, A., Mermelstein, R., Berg, K. M., Baker, T. B., Smith, S. S., Jorenby, D., ... & Cook, J. W. (2017). Offering smoking treatment to primary care patients in two Wisconsin healthcare systems: Who chooses smoking reduction versus cessation?. Preventive medicine, 105, 332-336.
    • Lindson N, Klemperer EM, and Aveyard P. (2020). Is there a place for cutting-down-to-stop in smoking cessation support? Addiction, 2020; 115(10):1797–9.
    • Lindson, N., Klemperer, E., Hong, B., Ordóñez­Mena, J. M., & Aveyard, P. (2019). Smoking reduction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 Klemperer, E. M., & Hughes, J. R. (2016). Does the magnitude of reduction in cigarettes per day predict smoking cessation? A qualitative review. Nicotine & Tobacco Research, 18(1), 88-92.

    • Etter, J. F. (2011). Comparing abrupt and gradual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trial.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18(2-3), 360-365.
    • Lindson-Hawley, N., Banting, M., West, R., Michie, S., Shinkins, B., & Aveyard, P. (2016). Gradual versus abrupt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4(9), 585-592.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