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흡연 및 금연 연구 동향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금연 후 살쪄도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줄어든다' | |||
---|---|---|---|
작성자 | 길잡이 | 작성일 | 2018-01-18 |
출처 | 연합뉴스 | ||
흡연자보다 심근경색 위험 67%, 뇌졸중 위험 25% 줄어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들은 흔히 "살이 너무 많이 쪄서 담배를 끊을 수 없었다"고 변명하곤 한다. 살이 찌는 부작용으로 금연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억지' 주장을 담은 말이다. 하지만 이제 이런 변명은 통하지 않을 전망이다. 담배를 끊은 후 살이 찌더라도 심근경색과 뇌졸중을 줄이는 금연의 긍정적인 효과는 그대로라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이기헌(분당서울대병원)·박상민(서울대병원) 교수, 김규웅(대학원 의과학과)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2002∼2005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에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이 없었던 40세 이상 남성 10만8천242명을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논문을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 중 46.2%(4만9천997명)가 지속적인 흡연자였으며, 48.2%(5만2천218명)가 비흡연자, 5.6%(6천27명)가 금연자로 각각 분류됐다. 금연자 중 금연 이후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BMI가 1(㎏/㎡) 이상 증가한 사람은 27.1%(1천633명)였다. 담배를 끊고 나서 4명 중 1명 이상은 체중이 불어난 셈이다. 반면 61.5%(3천710명)는 금연 후에도 BMI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11.3%(684명)는 되레 BMI가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금연 이후 BMI 증감 여부가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이 결과, BMI가 증가한 금연자의 경우 지속적인 흡연자에 견줘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가 각각 67%, 25% 감소했다. 또 BMI에 변화가 없는 금연자도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가 각각 45%, 25%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금연 이후 BMI가 줄어든 금연자는 위험도 감소 효과가 심근경색 9%, 뇌졸중 14%에 머물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BMI가 줄어드는 건 조사 기간에 다른 기저질환이 생김으로써 금연에 따른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 감소 효과를 반감시켰기 때문일 수 있다는 추정을 내놨다. 박상민 교수는 "금연하면 장(창자)으로 이어지는 혈관이 니코틴에 의해 수축하는 게 중단됨으로써 혈관이 팽창하고, 이는 영양소 흡수량 증가에 따른 체중 증가로 이어진다"면서 "체중이 불어나더라도 금연을 지속하면 죽상동맥경화증에 의한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이 낮아진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기헌 교수는 "기존에는 금연 후 뒤따르는 체중 증가와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때문에 금연이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는 데 과연 효과가 있을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가 증명하듯 체중 증가가 금연으로 인한 효과를 저해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다만 담배를 끊고 난 이후에도 과도한 체중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운동과 식이조절 등의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이전글 | 운동이 금연에도 도움된다…'뇌 변화로 금단증상 줄어' |
---|---|
다음글 | 日연구기관 '아이코스 유해물질, 일반담배보다 적다' |
페이지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