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화재 절반 이상은 '부주의' 탓…담배꽁초 실화 가장 많아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화재 절반 이상은 '부주의' 탓…담배꽁초 실화 가장 많아
작성자 길잡이 작성일 2017-07-17
출처 연합뉴스

경기도 상반기 화재 원인 분석…전기적·기계적 요인이 2·3위
 

(수원=연합뉴스) 최해민 기자 = 경기도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분석해보니 담배꽁초에 의한 화재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경기도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올 1월부터 6월까지 경기도에는 총 5천846건의 화재가 발생해 42명이 숨지고, 252명이 부상했다. 재산피해는 1천289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국 화재 건수(2만5천175건)의 23%에 달하는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6천45건의 화재로 41명이 숨지고 285명이 부상했으며 1천96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올 상반기 화재는 전년보다 발생 건수는 199건(3.3%) 감소했고, 인명피해는 사망 1명(2.4%)이 늘었으나 부상은 33명(11.6%) 줄었다.


화재 원인은 부주의가 3천286건(56.2%)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인 1천120건(19.2%), 기계적 요인 709건(12.1%), 화학적 요인 112건(1.9%) 방화 또는 방화의심 95건(1.7%) 등이었다.


지난해에도 부주의에 의한 화재는 절반을 넘는 3천206건(53%)으로 집계됐다.


올해 부주의 화재 유형으로는 담배꽁초에 의한 화재가 1천147건(34.9%)으로 가장 많았고, 쓰레기 소각 546건(16.6%), 화원 방치 381건(11.6%), 논·임야 태우기 355건(10.8%), 음식물 조리 278건(8.5%) 등이었다.


소방당국이 화재 연소 확대 사례를 분석해보니 가연성 물질에 의한 급격한 연소가 1천907건(45.7%)으로 가장 많았으나, 불법주차 등으로 인한 현장 진입지연 19건(0.5%), 인접 건물과 이격거리 협소 150건(3.6%), 연통효과 8건(0.2%) 등 행정당국의 관심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사례도 더러 있었다.


화재가 가장 잦았던 곳은 화성 400건(6.8%), 안성 297건(5%), 남양주 272건(4.7%) 등의 순이었다.


경기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화재를 예방하고,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기적으로 화재 발생 사례를 분석하고 있다"라며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도민의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goals@yna.co.kr

이전, 다음 게시물 목록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식약처,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 유해성 검사 착수
다음글 WHO '10년간 전세계 금연정책 강화…47억명에 영향'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