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흡연환자 대상 병원 금연프로그램 성공률 60% 넘어'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흡연환자 대상 병원 금연프로그램 성공률 60% 넘어'
작성자 길잡이 작성일 2017-06-26
출처 연합뉴스

금연학회 "담뱃세 인상분, 병원 금연프로그램 운영에 지원해야"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 흡연중인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병원의 금연프로그램이 일반적인 금연 성공률보다 금연효과가 두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대한금연학회는 2016년 3월부터 11월까지 단국대병원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참여한 입원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한 금연 성공률 조사결과를 공개하고, 병원 내 금연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연학회에 따르면 흡연 환자들에게 담배로 인한 폐해를 시각적으로 소개하고, 금연 상담 코디네이터와 면담을 진행하는 등 금연프로그램을 제공한 결과, 4주 동안 금연 유지에 성공한 비율은 292명(중간 퇴원자 제외) 중 216명으로 73.9%에 달했다.


또 3개월 동안 금연 유지에 성공한 비율은 69.2%(221명 중 153명)이었고, 6개월 동안 성공한 비율은 66.7%(90명 중 60명)였다.


이 수치는 일반적인 금연 성공률이 약 30%도 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높은 성공률이라고 학회 측은 설명했다.
 
문제는 자체적으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병원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인력 고용 및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지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금연프로그램 도입을 주저하는 병원이 대부분이다.


이번 조사가 진행된 단국대병원의 경우 2012년 금연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지난해부터 금연 상담 코디네이터를 고용해 더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유석 금연학회 기획이사(단국대병원 가정의학과)는 "담배가 백해무익하고, 뇌·폐·심장·호흡기와 관련된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졌다"라며 "니코틴이 워낙 중독성이 강하므로 병을 얻어 입원한 환자조차 담배를 끊기 힘들다"고 말했다.


금연학회는 병원내 금연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담뱃세 인상분을 활용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흡연자가 낸 세금인 만큼 다른 분야가 아니라 흡연자의 금연 성공률을 높이는데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납세자연맹에 따르면 담배 세수는 2015년 10조5천181억원, 2016년 12조3천761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금액은 담뱃값 인상 전인 2014년(약 6조9천905억원)보다 각각 3조5천276억원, 5조3천856억원 증가한 액수다.


정 이사는 "800병상 규모의 단국대병원에서 금연클리닉을 운영해보니 500병상당 금연 상담 코디네이터 1명 정도가 적절하다"며 "현재 정부가 결핵·감염 관리 전담간호사를 파견하고 있는 것처럼 금연 상담 코디네이터를 병원에 파견한다면 환자 흡연율을 꽤 많이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각 병원에서 금연프로그램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kms@yna.co.kr

이전, 다음 게시물 목록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술집서도 극장서도 모락모락…갈등 빚는 전자담배 실내흡연
다음글 '담뱃갑 흡연경고 그림 더 크게'…50% 넘는 국가 8년새 4배↑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