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어떻게 생각하나요'…병원 인근 입원복 차림 흡연 환자들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어떻게 생각하나요'…병원 인근 입원복 차림 흡연 환자들
작성자 길잡이 작성일 2017-06-13
출처 연합뉴스

외래진료 환자·보호자 '눈살'…흡연족 "어쩌란 말이냐" 항변
금연운동협의회 "입원환자 대상으로 금연 프로그램 확대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 지난 12일 오후 3시께 서울에 있는 한 대학병원 정문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입원복을 입은 한 사람이 담배를 꺼내 불을 붙였다.


지나가는 사람 중 일부가 힐끗 쳐다봤지만, 이 환자는 평소 자주 피우던 장소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담배 한 대를 다 태웠다.


이날 담배·음료 등을 판매하는 거리 좌판대에서는 링거대를 끌고 나온 채 담배를 사는 환자도 목격됐다. 이 환자 역시 병원 정문 골목에서 담배를 피웠다.

       

이런 모습을 지켜본 박모(49·여)씨는 "어딘가 몸이 안 좋아서 입원한 환자가 흡연하는 모습이 결코 보기 좋을 리 없다"며 "저러고 그대로 병실에 들어가면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담배냄새 등으로 간접 피해를 줄 것 같다"고 말했다.


2012년 병원 전체가 국민건강증진법에 의해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병원 인근이 환자들의 '흡연장소'로 변하고 있다.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건물 실내만 아니라면 주변에서 담배를 피워도 마땅히 제재할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A 대학병원 관계자는 "의료기관 주변에서는 가급적 흡연을 삼가달라고 요청하고 싶지만, 딱히 제재할 방법은 없다"며 "입원복을 입고 흡연을 위해 낮에 잠깐 외출하는 것 역시 '환자의 자유'로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문제는 외래진료나 병문안을 위해 병원을 찾은 환자와 보호자가 간접흡연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흡연 환자들이 병원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담배를 피우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반론도 있다. 흡연자 이모(46·남)씨는 "병원 전체를 금연시설로 지정해 밖에 나와서 피우는 것까지 제재를 받아야 하는 건 말도 안 된다"며 "환자라고 흡연까지 하지 말라는 법은 없지 않은가"라고 항변했다.


일각에서는 의료기관별로 흡연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서홍관 한국금연운동협의회 회장(국립암센터 가정의학과)은 "현재 의료기관·어린이집 등 각종 금연건물의 실내는 금연으로 지정된 상태지만, 그 주변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까지 법으로 막을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서 회장은 "흡연 환자를 무조건 법으로 규제하려는 발상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최대한 오른 시점(입원상담 등)에 정부가 운영하는 금연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병원마다 금연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책자를 곳곳에 배치하고, 환자에게 금연 등 건강관리 요령에 대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kms@yna.co.kr

이전, 다음 게시물 목록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퀴퀴함 대신 웃음꽃 활짝'…담배연기 사라진 시골 경로당
다음글 '청소년에 술·담배 안돼요'…학교 주변 편의점 계도활동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