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흡연폐해 정부 실험실 첫 개소…담배 위해성 분석
작성자 길잡이
2015-11-25
조회수
5239
|
|||
---|---|---|---|
흡연폐해 정부 실험실 첫 개소…담배 위해성 분석 간접흡연 피해도 분석…금연정책·담배소송에 활용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담배의 성분을 분석해 중독성과 위해성 여부를 찾아내는 정부 차원의 실험실이 25일 처음으로 문을 연다. 질병관리본부는 24일 "내일 충북 오송의 본부 건물 내에 흡연폐해 실험실을 개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흡연폐해 실험실은 담배의 성분 관련 실험을 하는 국가차원의 첫 실험실이다. 그동안 담배 실험실은 국내에서는 민간 차원에서 일부 대학의 부설 시설로만 있었다.
이 실험실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때문에 개소 시점이 8월에서 늦춰졌다. 실험실은 국내에 유통되는 담배의 성분(첨가물 포함)과 연기 등의 배출물을 분석하고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 정도를 알아보는 역할을 한다. 담배에 니코틴, 타르, 암모니아, 흡습성물질 등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또 멘솔, 당류 등 중독성을 강화하는 첨가물질은 어느 정도 포함돼 있는지 분석한다. 아울러 담배 연기에 어떤 성분이 검출되는지, 연기가 사람의 몸과 주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한편, 혈액, 소변, 모발 등 인체 시료나 먼지 같은 환경시료에 담배연기를 노출해 어느 정도 위해성이 발생하는지 살펴본다. 실험동물과 동물 세포를 활용해 담배 연기가 암, 심혈관질환, 감염성 질환, 성장발달장애, 중독성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도 이 실험실의 역할이다. 질본 관계자는 흡연폐해 실험실에 대해 "그동안 주로 행해오던 역학조사 뿐 아니라 실험실 연구를 통해 흡연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실증적인 증거를 찾는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험실 연구 결과물은 향후 금연 정책 수립과 담배회사 대상 소송의 증거 등으로 활용된다. 담배회사가 인위적으로 첨가물을 넣었는지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KT&G[033780], 필립모리스코리아, BAT코리아 등 담배제조사를 상대로 벌이고 있는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중요한 쟁점 중 하나다. 미국은 국가기관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나 식품의약국(FDA)에서 직접 실험을 통해 담배의 첨가물을 조사하고 있지만 국내의 담배 성분과 관련한 실험자료는 객관성이 의문시되는 담배회사 자체 자료나 일부 민간 대학의 연구 결과가 사실상 전부였다. 흡연폐해 실험실은 13명의 인력으로 구성되며 연기표집장치, 스모킹 머신 등 실험 장비를 갖췄다. 올해 4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내년에는 30억원의 예산이 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질본은 이 실험실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인증을 받도록 연구 역량을 키우는 한편 전세계의 비슷한 연구소들이 모인 국제보건기구(WHO)의 담배연구소네트워크(TobLabNet) 가입도 추진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