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방

알림방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비만·흡연 중년남성 '복부대동맥류' 조심해야'

작성자 길잡이 2015-04-23 조회수 5978

"비만·흡연 중년남성 '복부대동맥류' 조심해야"


 

환자 10명중 7명은 60대 이상 남성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자각 증상이 없어 병을 키우다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복부대동맥류'에 각별한 주

의가 필요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복부대동맥류란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의 직경이 정상(2㎝)보다 1.5배 이상 증가하는 상태

를 말한다.
 
배 안에서 별다른 증상도 없이 한계까지 부풀어오르던 혈관이 파열되면 치명적이다. 이런 경우 60%는 병원에 도착하

기 전에 사망하고 수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도 절반 가까이가 숨진다. 자각 증상이 없으며, 대부분 건강검진에서 우연

히 발견된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진현 교수팀은 2009년 3천670명이던 복부대동맥류 환자가 2013년에는 6천534명으로 크

게 증가했으며 이중 69.4%가 60대 이상 남성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복부대동맥류는 대부분 콜레스테롤과 지방처럼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위험 인자가 혈관에 쌓여 염증을 만들면서 시작

된다. 혈관벽이 약해지면서 혈관이 혈압을 견디지 못해 부풀어오르면 복부대동맥류로 발전한다.
 
60대 이상 남성들은 나이가 들면서 혈관이 노화한데다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흡연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지닌 경우

가 많아 복부대동맥류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조 교수팀의 앞선 연구에서는 국내 65세 이상 흡연 남성의 4.5%가 복부대동맥류를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복부대동맥류의 수술은 복부를 절개해 동맥류 발생 부위를 인조혈관으로 대체하는 개복복원술과 개복수술 없이 방사선으로 투시하면서 스텐트·도관을 삽입하는 스텐트·도관삽입술로 나뉜다.


조진현 교수는 "복부대동맥류는 50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지만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 60~70세가 되어 갑작스러운 증

상에 병원을 찾는다"며 "평소 흡연과 술자리가 잦고 비만이면서 복부에 심장이 박동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junm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5/04/23 11:35 송고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이메일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