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규제보다 인식변화 노력"
(알마티=연합뉴스) 김현태 특파원 = 카자흐스탄이 '금연 전쟁'을 선포했지만 공공장소 흡연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자흐 보건당국은 20일 지난 5월부터 공공장소에서의 금연 실태를 일제 단속한 결과 알마티에서만 300곳 이상이 적발됐으며 이는 흡연이 금지된 장소 가운데 70%가 위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현지언론인 텡그리 뉴스가 전했다.
또 단속에 걸린 대부분 식당과 카페주인들은 "여기는 공공장소가 아닌 사적인 곳이다", "우리는 흡연 허가를 받았다"는 등의 황당한 답을 해 아직 금연 정책에 대한 홍보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흡연에 관대한 카자흐에서는 최근 관련 질병에 의한 사망이 늘어나며 흡연피해가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보건당국은 흡연으로 말미암은 질병 치료 등에 드는 사회적 비용이 매년 760억텡게(5억 7백만 달러)에 이르며 카자흐 남성의 기대수명 또한 옛소련 시절보다 줄었다고 밝혔다.
카자흐 정부는 이에 지난 2009년부터 모든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금지와 학교 및 병원 주변 500미터 내에서의 담배 판매금지, 담뱃갑에 경고문을 새기는 등 금연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시민들의 인식 부족으로 큰 효과를 못 보고 있다.
통계를 보면 금연정책 시행에도 담배소비량은 8배나 급증해 현재 카자흐에서는 국민 1인당 매일 9개비를 피울 정도의 담배가 소비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흡연인구도 성인남성의 65.3%, 성인여성의 20%에 이를 정도로 높으며 연령층도 다양해 심지어 8살 어린이도 포함됐다.
이에 당국은 최근 좀 더 강력한 금연정책을 발표했다.
새롭게 추가된 정책은 오는 7월부터 담배갑에 폐암, 기관지 암 환자 등의 흡연피해자 사진게재와 내년 1월부터 시행하는 담뱃값 두 배 인상, 현행 18세인 흡연 가능 연령을 21세로 올리는 법 등이 들어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규제강화보다는 흡연에 대한 관념을 바꾸는 당국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6/21 17:4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