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방

알림방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3차 간접 흡연, 담배연기는 끈질기다!

작성자 길잡이 2012-05-24 조회수 6658

드라마나 영화에서 범죄를 수사하는 장면을 보면 아무것도 묻어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손이나 옷에서 총기 잔류물을 검사해 범인을 찾아내곤 한다.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총을 쏜 흔적이 남아 있는 것 이다. 흡연도 마찬가지이다. 집 밖에서 피우고 들어가면 식구들은 아무 상관 없겠지, 담배 연기만 직접 맡지 않으면 괜찮겠지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담배 연기는 생각보다 독하고 끈질기다.


오랜만에 친구들과 노래방에서 신나게 노래를 부르다 집에 온 나금연양. 집에 오니 어디선가 담배냄새가 나는 것 같았다. 금연양은 자신의 머리에 담배냄새가 밴 것을 알고 깜짝 놀랐다. 함께 노래방 간 친구들 중에는 흡연을 하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나금연양은 담배를 피우지도 않았고, 담배 연기 근처에도 있지 않았는데 자신의 머리에 담배냄새가 배인 것이 매우 불쾌했다. 나금연양의 사례처럼 누구나 외출하고 집에 돌아오니 머리나 옷에 담배냄새가 배여 불쾌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담배를 피운 것도 아니고,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있었던 것도 아닌데 흡연의 피해를 입는 것은 왜일까?

 

흡연에는 담배 직접 피우는 직접 흡연과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로 인한 연기를 흡입하는 간접 흡연이 있다. 간접 흡연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졌고, 이제 대다수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담배연기를 들이마시는 것 자체가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데 ‘3차 간접 흡연’에 대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담배를 직접 피우는 직접 흡연, 다른 사람이 피우고 있는 담배 연기를 들이마시는 간접 흡연과 달리, 담배를 피우고 난 후 남아 있는 독성 물질을 들이마시는 것이 3차 간접 흡연이다.


다음에 제시된 다섯 가지 사례 중 어느 것이 3차 간접 흡연에 해당될까?


사례 1. 친구들과 노래방에 갔습니다. 일행 중에는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없었지만 노래방에 배어있는 담배 냄새가 매우 불쾌했습니다.

 

사례 2. 김 과장은 아내 몰래 아파트 계단에서 담배를 피우고 집으로 들어갔습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간 둘째 딸이 달려와 김 과장 품에 안겼습니다.

 

사례 3. 이 대리는 점심시간이 끝나고 사무실로 들어가기 위해 엘리베이터를 탔습니다. 입사 동기인 박 대리가 반갑게 인사를 건넸습니다. 그런데, 방금 담배를 피웠는지 박 대리 입에서는 담배냄새가 났습니다.

 

사례 4. 얼마 전 재호 씨는 중고차를 구매했습니다. 싼 값에 좋은 차를 사게 되어 매우 기뻤습니다. 그런데 이 전 주인이 골초였는지 차에 담배냄새가 배어 빠지질 않았습니다. 재호씨는 매우 불쾌했지만 싼값에 좋은 차를 샀으니 감수하기로 했습니다.

 

사례 5. 알뜰살뜰 저축을 해온 영미 씨는 드디어 독립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전 주인이 집안에서 담배를 피웠던 까닭에 집 안에서는 담배냄새가 가시질 않았습니다. 대청소를 하고 나니 한결 나아지긴 했지만 찜찜한 기분은 가시질 않았습니다.

 

앞의 사례는 모두 3차 간접 흡연에 해당된다. 자신이 담배를 피우지 않아도 벽지, 카펫, 옷 등에 남아 있는 담배 속 유해물질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대학생 기자단은 위의 사례를 통해 ‘3차 간접 흡연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인남녀 100명이 참여한 설문 조사 결과, 많은 응답자가 간접흡연과 3차 간접 흡연의 차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3차 간접 흡연에 해당되는 것을 묻는 질문(복수응답 가능)에 ‘사례 1’이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63명, ‘사례2’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75명, ‘사례3’이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56명, ‘사례4’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53명, ‘사례5’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45명이었다.

 

‘5가지 사례 모두 간접흡연’이라고 답한 비율도 25명이나 되었다. 3차 간접 흡연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자, 응답자의 85%가 ‘아니오’라고 답했고, ‘예’라고 답한 비율은 15%에 그쳤다. ‘3차 간접 흡연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도 ‘3차 간접 흡연의 정의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은 있지만 정확한 뜻은 잘 모른다.’, ‘다른 사람이 담배를 피울 때 그 연기를 흡입하는 것이다’ 등과 같이 답해 3차 간접 흡연의 정확한 정의는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연기는 끈질기다. 가족 중 흡연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 회사 동료가 담배를 피운다는 것만으로도 흡연의 폐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은 이러한 피해에 더욱 취약하다. 나 자신 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구, 동료의 건강을 위해서도 금연이 절실하다.

 

오은정 대학생 기자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이메일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