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 `100세 시대'에 대비해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률 상승과 이에 따른 의료비 부담 급증을 막기 위한 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건사회연구원 김남순 연구위원은 8일 11개 정부 부처와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100세 시대 종합 콘퍼런스'에서 `100세 시대 대비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검토'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예방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는 뚜렷하지만, 예방적 건강관리체계의 실행 계획은 아직 추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빠르고 노인 의료비 비중이 높은 만큼 국가적 차원의 건강관리체계를 하루빨리 구체화해야 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또 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전 국민에게 제공되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기본으로 삼고 여기에 호주의 SNAP 프로그램과 같은 방식의 필수 예방 서비스를 접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SNAP은 1차 의료를 담당하는 의사 중심으로 실행되는 흡연, 영양, 알코올, 신체활동 관리 프로그램을 말한다.
그는 예방적 건강관리체계의 모델로 "건강생활 실천에 대한 상담 및 교육과 치료 영역이 통합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했다.
또 내년 시행을 앞둔 선택의원제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에 건강 주의군에 대한 평가와 상담 서비스가 추가되면 이론적으로는 지금보다 확장된 만성질환관리모형을 만들 수 있는게 그의 판단이다.
공공의료 서비스기관의 활용 방안도 내놓았다.
그는 "보건소나 보건지소의 건강증진센터는 건강보험공단과 공공병원 등과 협력해 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보공단과 공공병원도 영양 혹은 운동프로그램 등 특화된 예방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 연구원은 "공공기관만으로는 예방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는 만큼, 예방서비스 제공 주체를 다양화할 필요성도 있다"며 "이런 관점에서 민간기업이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meolakim@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