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방

알림방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담배없는 건강 사업장 만들기 노하우 들어보니…

작성자 길잡이 2011-08-22 조회수 6637
한국교직원공제회는 전국 교직원의 생활안정과 복리증진을 위해 설립된 민간기업이다. 1971년 설립된 이래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61만명의 회원과 18조원의 자산을 보유한 굴지의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전국 교육 가족의 행복한 미래를 위해 힘쓰는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사내 금연캠페인을 시작했다는 소식을 듣고 한국교직원공제회관을 찾았다. 한국금연운동협의회(이하 KASH) :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권덕환 차장 : 안녕하세요, 교직원공제회의 금연캠페인을 담당하고 있는 미래전략실 전략기획팀의 권덕환 차장입니다. 박성우 대리 : 저는 차장님과 함께 사내 금연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 박성우 대리입니다. 반갑습니다. KASH : 먼저, 어떻게 사내 금연캠페인을 시작하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권덕환 차장 : 저희 교직원 공제회는 경영방침 전략과제인 윤리경영의 일환으로서 건전한 직장문화 캠페인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그 첫 번째가 금연캠페인입니다.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설문조사에서 조사 참가자의 82%가 직장 내 금연캠페인의 필요성에 대해‘공감’하였고, 흡연자의 73%가 금연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여러 가지 건강증진 활동 중에서 금연을 가장 먼저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KASH :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하고 계시는지 소개해주십시오. 박성우 대리 : 저희가 진행하고 있는 금연캠페인은 총 3단계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1단계는 도입기입니다. 저희 교직원 공제회는 지난 4월 20일 금연선포식을 통해 금연의지를 대내외적으로 알렸고, 가천의대 윤방부 부총장님을 초청하여 금연에 대한 강연을 들었습니다. 또, 금연표어 공모전을 열었는데요, 당첨된 표어를 연중 게시하여 사내 금연분위기 확산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2단계는 실행기입니다. 실행기의 가장 큰 활동은 금연펀드입니다. 저희는 금연희망자들 대상으로 금연펀드를, 비흡연자들 대상으로 서포터즈 펀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금연펀드 가입자는 6개월 금연에 성공했을 시에 배당금을 받게 되고, 서포터즈 펀드 가입자는 자신이 지원하는 금연희망자가 금연에 성공했을 시에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10월이 되면 3단계인 정착기에 도달하게 됩니다. 저희는 10월 10일 윤리의 날에 금연성공자에 대한 포상을 실시하여 1기 금연성공자들이 금연을 유지하고 사내에 금연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KASH : 사무실을 둘러보니 컴퓨터 위에 “금연도전”이라는 POP(Point-of-purchase : 판매점 주변에 전개되는 광고와 디스플레이류 광고의 총칭) 를 부착한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앞서 말씀하신 강연과 펀드 이외에 다른 홍보활동들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네요. 권덕환 차장 : 네, 그렇습니다. 금연에 도전하고 있는 흡연자들에게 “금연도전” POP를 배포하여 주위에 금연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고요, 각 사원들의 가정에 가정통신문을 보내 회사의 금연캠페인을 알리고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사실 저도 10년 넘게 흡연해 오다가 본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담배를 끊었는데요, 가정통신문을 본 가족들이 아주 적극적으로 저의 금연을 지지해주었습니다. 박성우 대리 : 또, 금연펀드 가입자들에게 금연관련 정보를 담은 이메일을 주기적으로 발송하고 있고요, 매주 목요일에는 윤리경영 게시판에 국내외 금연공익광고와 만화를 게시하는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홍보활동들이 사내에 금연분위기를 조성하고, 금연도전자들이 마음을 다잡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ASH : 이러한 금연캠페인에 대한 직원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진행하면서 어려우셨던 점은 없으셨나요? 권덕환 차장 : 대체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새롭다”혹은“재밌있다”는 반응을 보이시는 분들이 많은데, 일부는 냉소적으로 바라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소수이지만 “이렇게 한다고 사람들이 얼마나 금연하겠어?”라면서 캠페인을 무시하거나 “그냥 한 대 피워봐. 뭐 어때?”라고 금연을 방해하시는 분들이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캠페인을 진행하는 입장에서도 맥빠지는 일이고, 전체적인 분위기를 흐리게 되니까요. KASH : 사내 금연캠페인을 기획하고 있는 타기업에 추천해 주고 싶은 방법이 있으시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박성우 대리 : 저희는 금연펀드를 조성하면서 다수의 금연서포터즈를 모집한 것이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보통 팀원 중에 한 명이 금연을 시도하게 되면 나머지 팀원들이 금연서포터즈가 되어 금연도전자를 돕고 있는데요. 이들이 자율적으로 격려자와 감시자의 역할을 해 주기 때문에 금연에 도전한 팀원이 쉽사리 포기할 수가 없게 되는거죠. 금연에 실패할 경우 서포터즈들이 펀드 배당금을 받지 못하게 된다는 것도 있고요. 타기업에도 금연서포터즈 제도를 추천하고 싶네요. 교직원 공제회에서는 금연캠페인과 더불어 절주캠페인도 시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과도한 음주를 줄이고, 공연관람이나 레포츠활동 등 술자리 이외에 회식문화를 만들어 가겠다는 것이다. 흡연 욕구를 가장 참기 힘든 때가 회식자리이기 때문에 절주캠페인과 금연캠페인을 동시에 진행하면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절주캠페인과 더불어 더욱 많은 직원들이 금연에 성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출처 : 보건복지부 따스아리 기자단 2011년 08월 22일]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이메일
닫기
닫기